신경치료 후 통증이 생긴 상악 측절치, 재근관치료 및 보철치료 증례 2025-03-05 hit.78 |
|
환자 한분한분을 예술작품 다루듯, 소중하게 생각하고 치료하는 다인아트치과 대표원장 치의학박사 & 치과보존과,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박민주입니다. 치과는 보통 연말이 가장 바쁘다고들 하는데요,, 요새 시국이 어수선해서 그런지 환자분 약속 변경도 잦고, 원장실에 앉아서 사진 정리하고 공부를 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요즘입니다. 오늘 함께 나누려고 할 증례는 상악 전치의 재근관치료와 보철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어떻게 치료되었는지, 같이 살펴보시죠^^ "예전에 신경치료하고 미백치료까지 한 치아가 파절된 것 같고, 최근들어 통증도 생겼어요." ![]() 2024. 10. 31. 촬영 사진상에서 봤을 때 좌측 측절치(사진의 흰색 화살표)의 뿌리 끝부분을 손가락으로 촉진시의 통증과 치아를 타진(두들겨봄)했을 때에도 다른 치아와는 다른 느낌이 난다고 하셨습니다. 이전에도 신경치료를 하고 미백치료를 받으셨다고 하셨는데, 해당 치아가 반대측 동명치와 비교했을 때 갈색의 색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치아의 뿌리 끝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습니다. ![]() 2024. 10. 31. 촬영 22번 치아(상악 좌측 측절치)의 치근단에 방사선 투과상 병소가 관찰됩니다. 또한 초진 시 촬영한 사진에서는 치아 구조의 파괴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구개측으로 광범위한 코어 수복이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환자분께 이런 상황을 설명드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근관치료 치경부쪽의 치질이 부족하기 때문에 치료하기 위한 크라운 수복 을 설명드렸고, 일단 통증 해소를 위해 재근관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 (좌)2024. 10. 31., (우)2024. 11. 12. 촬영 러버댐을 장착하고, 기존 코어 수복물과 근관 충전재를 깨끗하게 제거하였습니다. 첫날 내원 직후 환자분의 통증은 소실되었고, 치근단 병소의 크기가 큰 것을 고려하여 보통의 경우보다 2회 정도 근관 세척을 추가적으로 시행한 후에,,, ![]() 2024. 11. 12. 촬영 근관치료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노란색 화살표 부분에 치아의 균열이 있어, 이를 치료하기 위해 크라운을 위한 치아 형성을 시행하였고,,,, ![]() 2024. 12. 5. 촬영 프렙이 완료된 상태입니다. 프렙된 치아에서 번쩍번쩍 광이 나네요ㅎㅎㅎ 이 상태에서 인상을 채득하고, 전치부 심미 보철의 완벽한 shade matching을 위해 e.lab system을 이용한 보철 제작을 시행하였습니다. 이렇게 제작한 최종 보철물은 어떤 모양일까요? ![]() 2024. 12. 5. 촬영 환자분께서 시적 후 거울을 보시고는 어떤 치아를 치료했는지 전혀 모르겠어요 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심미 보철 증례에서 이 것 보다 더 좋은 칭찬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시적 하기 전까지만 해도 잘 맞을지 걱정이 많이 되었는데 한시름 놓았네요^^ 긴 포스팅 읽으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좋은 치료를 위해 온 마음을 담는 다인아트치과입니다.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