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열이 발생한 하악 제2대구치를 생체모방형 수복치료로 치료한 증례 2025-03-12 hit.24 |
|
안녕하세요. 환자 한 분 한 분을 예술작품 다루듯, 소중하게 생각하고 치료하는 다인아트치과 대표원장 치의학박사 & 치과보존과,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박민주입니다. 오늘 소개할 증례는 저희 치과의 시그니쳐(?) 치료인 오버레이 치료에 관한 내용입니다. 같이 살펴보도록 하시죠^^ "오른쪽 아래 보철물이 빠진지 꽤 오래되었어요. 다른 치과에서는 치아에 금이 가있어서 신경치료, 크라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2024. 12. 3. 촬영 하악 우측 제2대구치에 골드인레이로 추정되는 보철물이 탈락된 모습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화살표 부분에 균열선이 존재하고, 하방으로 약간의 2차 우식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환자분께서는 최근 들어 씹을 때 가끔 통증이 있었다는 것 말고는 큰 불편함이 없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예전에 골드인레이가 있었던 치아의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균열선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보다 나은 진단을 위해 형광촬영(Q-ray)장비를 이용하여 하악 우측 제2대구치를 촬영하였습니다. 2024. 12. 3. 촬영 역시나,,, 근심측의 균열선 이외에도 기존 수복물의 변연부에서 출발하는 균열선이 여럿 발견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균열을 모두 커버하기 위해서 크라운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4. 12. 3. 촬영 하지만 이 환자분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살펴보면,,, 뒤쪽으로 흰 선으로 표시한 부분이 원심측 치은연의 레벨인데 이렇게 높게 위치해 있으면, 크라운 치료를 위해 추가적으로 치관연장술과 같은 치주외과수술을 피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환자분께 이런 설명을 드렸더니, 이미 인터넷으로 검색하시고 저희 치과에 오셨고, 치아를 최소로 다듬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하고 싶다 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다행히도 치료 상담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생체모방형 간접수복치료(오버레이)로 치료하기로 결정하고 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우선 러버댐부터..... 2024. 12. 3. 촬영 기존에 잔존하고 있는 레진베이스를 제거하고, 대략적인 치아 형성을 시행하였습니다. 교합면에 있던 균열선의 경우에는 깊이가 깊지 않아 완전히 제거하였고, 근심면에 있었던 이차 우식과 균열선도 마저 제거하였습니다. 이 상태에서 이제 해야 하는 순서는 노출된 상아질을 보호하는 즉시상아질밀폐(Immediate Dentin Sealing)이죠.. 이 과정을 거침으로서 인상채득 후 노출된 상아질표면을 보호하여 접착 강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시수복재로 지내는 기간 동안 환자분의 시린 증상을 예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조건 하면 좋은 거예요... 이번 증례에서는 가장 깊은 심부의 경우에는 접착층의 보호를 위해 Fiber Reinforced composite resin을 사용하였습니다. 이후 논문에서 가장 물성이 좋다고 알려진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Resin coating을 시행하였습니다. 2024. 12. 3. 촬영 인상채득 직전의 상태입니다. 이 시점에서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보면요,,, 2024. 12. 3. 촬영 연두색 선이 와동의 최하방이고, 거기서부터 노란색 선까지가 Fiber Reinforced composite resin, 그 상방으로 분홍색 선까지가 Resin coating층입니다. 두 층의 두께가 1mm도 안되는 것을 고려하면,, 극도로 섬세한 작업을 했다. 라고 또 제 자랑을.......ㅎ 2024. 12. 10. 촬영 일주일이 지나 보철물 접착을 시행하였습니다. 이 사진만 보면 크라운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삭제량이 적은지 가늠이 잘 안되실 것 같아,, 만약에 이 치아를 크라운으로 치료했다면 후방에 높이 있는 잇몸을 모두 절제하고, 치아의 삭제량 또한 치경부까지 모두 포함하는,, 침습도가 높을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치료 기간이 늘어나는 것 또한 피할 수 없었을 것이고요. 저렇게 얇은 오버레이가 구강 내에서 얼마나 버틸 수 있겠냐? 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현대의 접착치의학 수준 유럽을 비롯한 해외에서 이미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경과관찰을 통한 검증된 치료법 이라는 점을 강조 드리고 싶습니다. Biomimetic Dentistry의 권위자이신 Pascal magne 선생님께서는 이러한 개념을 본인의 진료실에 도입한 이후로 침습도가 높은 Full Crown 치료는 거의 하고 있지 않다고 하실 정도로 안정되고, 생체친화적인 치료법이니 이제는 치료 결과에 대해서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긴 포스팅 읽으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좋은 치료를 위해 온 마음을 담는 다인아트치과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