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작성 테이블

신경치료 후 찾아온 극심한 통증, 미세현미경 활용 재신경치료+크라운 치료 증례

2025-03-05 hit.34

안녕하세요.


다인아트치과 대표원장 박민주입니다.



저희 치과에는 치과용 미세현미경을 이용하여 근관치료 뿐만아니라 여러 치료를 활발하게 하고 있습니다.



주변에 치과보존과 전문의가 항상 상주하고 있는 곳은 저희 치과밖에 없기도 하구요.


아마 저희 치과가 위치하고있는 광교신도시 전체에도 몇 곳 없을겁니다. 제가 치과 한곳한곳 찾아보지는 않았지만,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그렇더라구요?;;


그래서 치과에 내원하시는 분들 중에 버스를 타고 근처 치과대학병원으로 가던 중에 미세현미경 진료를 한다는 치과 간판을 보시고 중간에 내려서 내원해주시기도 하시고,,


이 근처는 아니고 멀리 있는 병원에서 저희 치과로 환자를 보내주시기도 하고 한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환자분은 다른 치과에서 근관치료 받은 치아를 재근관치료(재신경치료)하고 크라운치료까지 마무리한 증례입니다.



우선 환자분의 주소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다른 치과에서 어제 왼쪽 아래 신경치료를 마무리 했는데, 저녁부터 왼쪽 얼굴 전체가 너무 아파요."


촬영일자 2025.01.03


초진 파노라마를 살펴보면, 하악 좌측 제2대구치에 근관치료 후에 임시가봉재로 덮어놓은 것이 관찰됩니다.


환자분께서 신경치료 과정 중에는 아픈것이 전혀 없었는데,


치료를 마무리한 그 날 저녁부터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잠을 잘 수도 없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이전에 치료했던 치과에서는 근관치료 상태는 전혀 문제가 없으니까 씌우는 치료를 하면 된다는 말씀을 들었고, 그 말이 의심된다고 하여 저희치과에 내원해주셨습니다.



이런 경우가 제일 난감합니다..


이전 치과와 환자분 사이의 분쟁에 괜히 제가 껴들어가는 모양새가 되니까요,,



                                촬영일자 2025.01.03



초진시에 촬영한 하악 좌측 구치부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입니다.


근관 충전이 다소 짧게 되어있고, 하악 대구치의 일반적인 근관의 개수보다 덜 찾아져있는 듯한 양상입니다.


환자분께 사정을 잘 설명드린 후에, 재근관치료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일단 러버댐을 걸고, 기존에 충전되어있던 것들을 전부 제거합니다.



                                촬영일자 2025.01.03


이 방사선 사진은 치아 뿌리의 길이를 측정하기위해 근관치료용 파일을 삽입하고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입니다.


기존에 충전되어있었던 것들이 깨끗하게 제거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에 치료가 되지 않았던 근관도 하나 더 찾았습니다.


현미경이 없었다면 저도 못찾았을 것 같은 위치에 신경관이 하나 더 있더라구요.



그렇다면 왜 신경관을 놓쳤을지,,,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하악 제2대구치는 해부학적 변이가 영구치 중에 가장 심한 치아인데요, 


그 중에서도 한국인은,,, C형 근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높아서, 근관치료할 때 애먹이는 치아중에 하나입니다.



오죽하면 한국인의 하악 제2대구치의 C-shape canal에 관한 논문도 있을 정도니까요....


여담으로 한국사람은 상악 제1대구치의 해부학적 변이도 다른 인종 대비 심한데요.


제가 레지던트 시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치과대학 근관치료과에 견학을 갈 일이 있어 그 곳의 수련의와 이야기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 때 그 친구가,, 저랑 같이간 제 친구에게


"나 오늘 하악 C-shape canal, 상악 MB2 canal 치료했어. 나 쩔지?"


이러면서 사진을 보여줬는데,,,,


저희가


"우린 맨날 해,,, 그런 환자들 하루에 열명도 넘게 봐"


"너네 정말 대단하다. 금방 부자되겠어^^"


라고 하던 기억이 나네요;;;


한국의 처참한 근관치료 수가도 모르고,,,,ㅠㅠ


한국에서 엔도하시는 선생님들.. 파이팅입니다!! 선생님들이 진정한 tooth saver이십니다..


아무튼


이 상태에서 조금 더 진행한 후에, 환자분께서 귀가하셨는데, 다음날 걱정이 되어 전화드렸더니


통증이 완전히 소실되었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다음번 내원 시 재근관치료를 마무리 합니다.


보통 근관치료를 할 경우에 3회 내원을 원칙으로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2회 내원으로 마무리 하기도 합니다.


오늘 증례의 환자분 같은 경우에는, 2회차에 마무리 해도 큰 문제가 없을 정도의 상태였기 때문에, 2회 내원으로 마무리 하였습니다.



                               촬영일자 2025.01.13


근관치료를 마무리 하기 전, GP cone을 삽입하여 뿌리 끝까지 도달 했는지 확인을 하고,



근관치료와 복합레진을 이용한 코어 축조까지 완료하였습니다.


이제 크라운 치료를 위한 지대치 형성을 시행합니다.


촬영일자 2025.01.18



사진은 셋팅 직전의 지대치 상태인데요,


피니쉬라인이 명확하면서, 주변 치은의 상태가 괜찮은 모습입니다.


이제 크라운을 구강 내에 시적하고, 상하 치열의 맞물림-교합을 체크해봅니다.



펜으로 찍은거 아입니다.


제2대구치의 중심소와 중심으로 교합점이 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근관치료 증례가 엄청 많은데, 제가 미세현미경 카테고리의 첫 증례로 이 증례를 꼽은 이유가 바로 저 교합점 때문입니다.


기공소 소장님께서 보철물을 제작할 때, 디자인한 교합점의 위치와 실제 구강 내에서 교합지를 이용하여 찍은 위치가 동일합니다.


이는 진료실에서의 작업인 인상채득 교합채득과 기공소에서의 작업이 완벽하게 잘 맞을 때에만 이러한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저희 치과와 꾸준히 작업하고 있는 기공소 소장님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보다 나은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붙이러 오는 날 체어에서 형태수정을 20~30분씩 하는 경우도 많은데, 저희 치과에서는 교합조정은 큰 문제가 있지 않는 한 한두번의 미세조정으로 마무리 합니다.


조금이라도 이상하면, 그 보철물을 계속 잡고 형태를 수정하여 붙이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재제작하고 있습니다.


환자분께서 큰 비용을 지불하고 저희 치과에서 치료를 받으시는데, 맞지 않는 보철을 억지로 수정하여 넣는 것은 절대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그걸 용납할 수 없구요,,,



아무튼, 치과용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재근관치료 증례를 시작으로 저희 치과에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하고 있는 현미경 치료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합니다.



환자 한분한분을 예술작품 다루듯, 소중하게 생각하고 치료하는 다인아트치과입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TOP